좋아서 사랑해..
사회 과목을 싫어 하는 아이 본문
사회 과목을 싫어 하는 아이
B군은 중학교 1학년생이다. B군은 지능은 좋은 편으로 성적도 상위며 학급회에서 임원을 맡고 있으나 사회 과목만 싫어한다. 사회시간에는 학습 활동이 소극적이어서 발표도 하지 않는다. 성격은 내성적이며 자발적으로 연구하는 일이 없이 사람들 앞에서 발표한 일도 없다. 수학 숙제, 국어 예습이나 과제를 잊고 안하는 경우는 없다. 사회의 필기 시험 성적은 중위이지만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나 집단 학습에 적극 참가하여 그룹의 리더로서 학습 활동의 중심이 되는 일은 거의 없다. 도서관에서의 독서 경향은 소년 소설 등이 대부분으로 사회과목에 관한 것은 없다. B군은 사회는 점수가 나빠 아버지에게 꾸중을 들어 외우기도 힘들고 어려워 싫다고 한다. 사회를 싫어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요인을 위 B군의 사례를 예로들어 생각해보면,
(1)B군의 성격
①내성성으로 목소리가 작고 남과 얘기하거나 발표하는 일에 저항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자존심이 강해 남 앞에서 부끄러운 일은 특히 경계한다.
②자발적, 능동적인 학습보다는 지식을 착실히 기억하는 점에 마음이 이끌려 일제 학습을 즐기고 있다. 이런 성격은 사회같은 과목 학습에 매우 저항감을 갖게 한다.
(2)가정 환경
①아버지는 기계 상인으로 신경질적인 느낌을 주는 사람으로 B군이 시험지를 갖고 오면 꼭『이렇게 못하니?』하고 핀잔하거나 꾸중한다. 자연히 사회과에 재미와 자신을 갖지 못한다.
②가정이 비교적 넉넉해 관련된 참고서적이나 책으 갖추어 놓고 있다.
③부모가 바빠 학교에서 낸 숙제 둥은 B군에게 맡길 뿐 지도해 주는 일은 없다.
④권위적인 아버지는 B군의 진학에 사립 명문에 진학시킬 생각만 하고 합리적 교육의 배려가 없는 실정이다.
⑤가정학습 방법을 모른다고 B군은 말하지만 광범위한 학습 영역을 단편적으로 고찰하는 지도가 멀리돼 있다.
(3)교사
①학습을 늘 아동들의 생활에 관계시켜 구체적인 신변 상황으로부터 출발해 재차 자기 생 활에 돌아가도록 지도했다.
②우리나라 배치도를 인쇄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시켜 수시로 평가해 게시했다.
③발표력이 없기 때문에 매일 집에서 일어났던 일을 발표하도록 했다.
④학교 신문반에 들게 해 매일의 뉴스를 모두들 앞에서 설명토록 했다.
⑤신문이나 이터넷을 스크랩해 만들게 하고 스크랩의 기사를 가끔 발표케 했다.
⑥공동 작업을 많이 시켜 성공감을 경험케 했다.
⑦가정에도 연락해 사회과 학습의 장애를 제거하도록 부탁했다.
⑧지필 평가도 실시해 우수하면 칭찬해 주었다.
⑨독해력이 있기 때문에 교과서를 열심히 읽혔다.
이와 같이 흥미와 자신을 갖게 배려해 자발적으로 학습시킨 결과 효과가 올라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