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 사랑해..
공부에 흥미가 없는 아이『공부해야지』또는『공부를 안하면……』하는 생각을 갖고 있으면서도 막상 공부하려고 하면 그 의지가 사라지는 상태가되거나 의욕이 상실되는 등 공부하려는 기분이 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는데 공부를 싫어하는 것과는 학생 자신이 적극적인 이유를 갖고 있는 점이 다르다. 또 이 경우의 학생은 전혀 공부를 하지 않는 게 아니라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도 많고 교실에서 조용히 지내는 경우가 많아 문제시되지 않고 지나쳐 버리는 등 그 원인은 극히 다양하다. 이렇게 잘못 진단하거나 지도를 안이 하게 여기는 일 등을 주의 해야한다. 문제 행동은 일시에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공부가 풀려 나가지 않는 경우는 특히 그런 경향이 현저하다. 따라서 그 원인이나 징후를 추려내는 일은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상태는..
권위적인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는권위적 가정이란 비민주적인 가정을 말하는 것이므로 현대의 우리 나라의 가정의 많은수가 아직도 이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누구나 입으로는 민주주의를 떠들고 있지만 자기의 가정을 보고 그 비민주적인 실상을 자인한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가정이 이대로 미래에도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적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가정 생활의 영위나 가족 관계가 무의식중에 권위적인 전통을 그대로 이어 받고 있는 가정은 적지 않다. 즉 부모나 할아버지의 권위적인 생각, 아이들 교육의 잘못이 결국 다루기 곤란한 아이를 만들고 있는 사례가 흔한 것이다. [권위적인 가정의 특징]권위적인 가정에서는 어떤 일에대해서 가족의 상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낮으므로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자식들의 입장이 무시되어 버리는..
표정이 없는 아이무표정한 아이란 자기의 테두리 속에 틀어박혀서 마음의 창을 외계에 향하여 열어 놓으려 고 하지않고 감정을 표정에 나타내지 않는 아이다. 이러한 아이는 대인 관계에 있어서 고립되기 쉽고 친구도 적으며 자기 이외의 세계에 대하여 무관심 또는 배타적으로 되기쉽다. 아이다운 발랄한 인상이 전혀 없으며 차갑고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알수 없게 느껴져 지도하는데 애를 먹는 아이다. 대체로 유아 시기부터 나타나 우는일도 웃는일도 적고 칭얼대거나 자거나 무엇을 주장하는 일도 요구하는 일도 극히 적은 경향이 있다. 또한 정신지체,기타 원인으로 장면에 적응되지 못하고 부적응의 도피 반응으로서 무표정이 되는 경우도 있다. [집에서는 환한 표정의 아이]중학교 1학년생인 a는 생후3년간 산골지방에서 자랐는데 초..
인정할줄 모르는 아이완강한태도의 아이는 주위에서의 작용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설령 주위사람들의 충고가 그 학생에게 유리한것이어도 그것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외계와의 접촉 영역이 단단한 벽과 같은 성질의 것으로 마치 껍질을 쓰고 있는 듯한 성격의 아이다. 그러한 완고성은 외부의 힘을 압력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막으려는 모습으로 만들어 진다고 하기보다는 내부벽이 그힘을 강하게 외부에 침투시키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생각하는 것이 굳어져 있어 탄력성을 잃어버린 상태를 볼 수 있다. 일에 실패 하거나 승부에 져도 동요하는 일이 적고 다시 한번 전과 똑같은 방법으로 하려고 생각 한다. 성격이 완강한가 아닌가 하는 것을 진단하는 일이 가장 쉬운 때는 거듭되는 실패에도 불구하고 방법을 바꾸지 않고 충고에도 귀..